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(Double Diamond Process)의 개념
2025. 3. 4. 09:27ㆍTalk, Play, Love/Daily Log
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(Double Diamond Process)
더블 다이아몬드 (Double Diamond) 프로세스는 영국 디자인 카운슬(The Design Council)에서 2005년에 제안한 디자인 사고(Design Thinking) 기반의 문제 해결 및 혁신 프로세스다. 두 개의 다이아몬드 형태를 통해 문제 정의부터 해결까지 전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, 크게 네 가지 단계로 나눈다.
1. 발견 (Discover) – 문제 탐색
- 확산 : 문제를 광범위하게 탐색하는 단계
- 사용자 리서치, 인터뷰, 데이터 분석 등을 활용해 사용자 문제 및 니즈 파악
-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수집
2. 정의 (Define) – 문제 정의
- 수렴: 수집한 정보를 정리하여 핵심 문제를 도출하는 단계
- 사용자 페르소나(Persona) 및 고객 여정 맵 (Journey Map) 활용 가능
- 해결해야 할 핵심 문제(Problem Statement)를 명확히 정의
3. 발전 (Develop) – 해결책 탐색
- 확산: 다양한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단계
- 브레인스토밍, 프로토타이핑, 스토리보드 등을 활용해 아이디어 발전
- 실험과 테스트를 통해 해결책을 구체화
4. 전달 (Deliver) – 해결책 실행
- 수렴: 최적의 솔루션을 선택하고 실행하는 단계
- MVP(최소 기능 제품) 개발, 사용자 테스트, 피드백 반영
- 제품 또는 서비스 런칭 및 지속적인 개선
더블 다이아몬드의 특징
- 확관과 수렴을 반복하며 문제를 깊이 탐색하고 최적의 해결책을 도출
- 사용자 중심(User-Centered) 접근 방식
- 디자인 및 서비스 기획, UX/UI, 비즈니스 전략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
- 애자일(Agile), 린 스타트업(Lean Startup)과도 결합하여 활용 가능
적용 예시
예를 들어, 모바일 앱 기획 시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활용
사용자 리서치(발견) → 주요 페인포인트 분석(정의) → 와이어프레임 및 프로토타이핑(발전) → 앱 출시 및 피드백 개선(전달)
'Talk, Play, Love > Daily 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티븐 킹의 단편 소설 '130킬로미터 (Mile81)' 속 차량들 (0) | 2025.03.03 |
---|---|
Homebrew 설치 방법 정리 for macOS (0) | 2025.03.02 |